
21세기 신성장동력 식품산업 클러스터정책
- 작성 : 관리자, 2007-09-28
- /
- 조회 1,075
제목 없음 21세기 신성장동력 식품산업 클러스터정책
정부의 식품안전관리체계도 절실
지역의 농업과 식품산업을 연계하여 농촌지역에 다양한 경제활동을 창출하고 원료 및 가공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체계를 확립하여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출확대를 도모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이는 지난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농림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주최로 농수산물유통공사가 개최한 "식품 클러스터의 역할과 비전"이란 세미나에서 김태연 단국대 교수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현황과 식품 클러스터의 역할과 방향’"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태연 교수는 “정부부처간 업무의 이원화 및 중복에 따른 종합적인 식품안전관리체계가 미흡하다”고 강조하고,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낮은 기술력과 경영 및 마케팅 능력이 부족한데다가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한 기술개발투자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국산 원료농산물의 생산이 부족해 주원료의 수입의존도가 높고, 원료 및 농수산식품의 안정적이고 통합적인 수급관리체계가 없어 원료비와 물류비의 부담이 과중한 실정이다”고 밝히고,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거양하고, 첨단공학기술과 접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21세기 신성장장동력으로 식품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식품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날 김용만 전북도청 식품산업과장은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는데 따른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전북도는 08년 4백억원을 투입하기 시작해 오는 2014년까지 5천1백37억원을 투입, 권역별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생산기반을 조성하는 특화생산 혁신거점화 전략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승진 농림부 식품산업과장은 종합토론에서 “한·미FTA를 비롯한 한·중FTA 체결 등 점차 열악해지는 농업여건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돌파구의 일환으로 식품산업 클러스터정책을 구상하게 됐다”고 전했다.